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답으로 풀어가는 우리말에 관한 궁금증, 어휘 12,000개는 덤 : 《열공 우리말》

내 책 <열공 우리말>

by 지구촌사람 2017. 3. 19. 08:01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저의 9번째 자식 격인 우리말 책자 《열공 우리말》이 나왔습니다.

책자 설명은 전문가들인 출판사 쪽에서 아주 확실하게(?)

해 놓은 게 있기에 아래로 옮겨 왔습니다.

본래 부모는 자식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힘들잖습니까.


제가 이 블로그 문간에 매단 글귀에다,

문답으로 풀어가는 우리말에 관한 궁금증,

어휘 12,000여 개는 덤이라 했는데요.

어느 페이지를 들춰도 심심하지 않게, 술술 읽히게 엮었습니다.


이곳저곳에 [덤]으로 끼워 넣은 곳들에서는

'아하 그렇구나!'를 연발하시게 될 겁니다.

감히 그 보증서를 미리 발급합니다.

제 원고를 훑어본 제 친구인 국어학 교수 하나가 이러더군요.

어허... 나도 수업료를 내야겠군

 

제가 하고 싶었지만 꾹 참았던 말을 출판사 쪽에서 적었더구먼요.

세계화 시대에 당신의 품격을 높여주는 것은 외국어가 아니라

우리말 실력이다!“

       

, ‘엉덩이/궁둥이/방둥이'가 어떻게 다른지 확실하게 아시는 분은

이 책을 읽어보시지 않아도 되십니다. ㅎㅎㅎ  

제 자식이지만 그럴 듯하게 생겼습니다. 안팎으로요.

이뻐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溫草




~~~~~~~~~~~~~~~~~~~~~~~~~~~~~~~~


꼬리를 무는 국어 지식과 우리말 어휘 12,000가지

대화하듯 문답으로 풀어가는 우리말에 대한 궁금증



      
최종희 지음|622쪽|25,000원|원더박스



세계화 시대에 당신의 품격을 높여주는 것은 외국어가 아니라 우리말 실력이다

그리고 국어 실력도 어휘력이 좌우한다!

언어 실력 향상에는 풍부한 어휘력이 필수이다. 국어도 언어의 하나인 이상, 예외일 수 없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누구나 Vocabulary 22000등 어휘집 공부를 해봤을 것이다. 유독

국어에 대해서 어휘력의 중요성을 못 느끼는 것은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어도 어휘력을 늘리지 않으면 실력이 늘어나지 않는다국어사전에는 50만 여 단어를

수록하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단어는 3천 단어 수준에 불과하다. 영어는 1만 단어,

프랑스어는 3만 단어가 일상어휘로 쓰이는 것과 비교하면 우리의 빈약한 어휘력이 국어의

풍요로움을 얼마나 제한하고 있는지 짐작 가능하다.

열공 우리말》은 우리말에 대한 130가지 질문과 답을 통해 1천여 표제어의 뜻을 정확히 파악하고

다시 그 표제어와 분류별, 유형별, 실생활 사용례별로 연관된 12천여 단어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설명한 우리말 어휘 공부의 보고이다.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국어 지식과 우리말 어휘 공부
130개의 문답으로 국어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가는 친절한 우리말 강의
초보자부터 우리말 실력을 키우려는 독자까지 두루 활용할 수 있는 구성

어떻게 우리말 어휘력이 열 배로 늘어나나?

제시어 하나에서 꼬리를 물고 수십 가지 관련 어휘 익히는 구성 


《열공 우리말》은 하나의 제시어에서 시작해 그에 대한 궁금증과 지식을 풀어가면서 관련되는

수십 가지 우리말 어휘를 익힐 수 있게 구성했다예를 들어 302쪽의 담배 항목을 보자.

이 책은 먼저 찾아온 손님에게 담배 한 대를 권하며 인사를 나누는 옛 풍습에서 나온 대객초인사

(對客初人事)’라는 말을 설명한다. 피우면 걱정 근심을 잊는다는 뜻으로 망우초(忘憂草)’, 심심풀이로

피우는 풀이라서 심심초등 담배 자체를 일컫는 어휘를 익힐 때쯤이면 어느덧 담뱃대’, ‘물부리’,

고불통등 흡연 기구에 대한 낱말을 지나 골초’, ‘철록어미(담배를 쉬지 않고 늘 피우는 사람을

놀리는 말)’, ‘담배씨네 외손자(성질이 매우 잘거나 마음이 좁은 사람의 비유)’ 등 흡연자를 지칭하는

낱말과 담배씨로 뒤웅박을 판다같은 흡연에서 비롯된 속담과 관용어까지 익힐 수 있다결국

담배라는 제시어에서 시작한 설명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져 담배와 관련한 낱말, 속담 등 45가지

우리말 어휘를 상세히 이해하는 구성이다


우리나라에는 독특한 흡연 예절이 있어 “술상을 앞에 놓고 노소가 같이 즐기는 일은 있어도 담배만큼은

맞담배질하지 않는 것이 예의로 되어” 있습니다. 나이 차이가 나는 사람 앞에서 맞담배질(서로 마주

대하여 담배를 피우는 짓을 낮잡는 말)을 하다가는 버릇없는 놈이라고 혼쭐나기 마련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예의 규범이죠. ‘맞담배’와 발음이 유사한 막담배는 “품질이 좋지

아니한 담배”인데, 예전에 시골 아낙네나 머슴들이 많이 피우던 살담배(칼 따위로 썬 담배)로

유명했던 상표명 풍년초가 그런 막담배라 할 수 있습니다.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을 놀림조로

‘골초’라고 하는데, 실은 골초의 으뜸 의미는 “품질이 낮은, 쓰고 독한 담배”라는 뜻이랍니다.

막담배보다도 못한 담배이니 골초는 막담배의 사촌쯤 되려나요. (304쪽)

 

넓고 깊은 우리말의 바다를 헤엄치는 기쁨

파도치듯 밀려오는 한국어 지식의 향연


열공이라 해서 학교 졸업한 지 언젠데 다시 공부냐며 부담부터 느낄 필요는 없다.

《열공 우리말》은 수록된 130개의 문답 하나하나가 우리말 산책 칼럼이기도 하다.

최명희의 소설 《혼불》을 보면 주인공 이강모와 허효원의 첫날밤 장면이 나옵니다. 거기서 신부

효원은 다리속곳, 속속곳, 단속곳, 고쟁이를 입고 그 위에 또 너른바지와 대슘치마, 무지기를 입고서

마지막으로 다홍치마를 입은 것으로 되어 있지요. 모두 해서 여덟 가지인데, 겉치마인 다홍치마를

빼도 속옷만 자그마치 일곱 가지가 됩니다. 소설 속에서 표현된 대로 “몇몇 겹으로 싸고 감”은 탓에

신부는 마치 옷을 “갑옷처럼 입고 앉은” 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대슘치마, 무지기가 어떤

것인지를 알고 나면, 무지기를 입고서 그처럼 앉아 있는 일이 실제로 가능할지는 여러분들의

판단에 맡겨야 하겠지만요. (412쪽)

 

이 책에는 또한 마디마디에 60여 항목의 을 두어 우리말에 관한 뜻밖의 재미와 정보를 선사한다.

‘역사로 보는 우리말 팔자’(24쪽), ‘성서에 북한어 표기가 상당수 들어간 까닭’(99쪽), ‘한자어의 

경제적 조어 능력’(124쪽), ‘한국인 열의 아홉이 실수하는 외래어’(267쪽), ‘엉덩이/궁둥이/방둥이는 

어떻게 다를까?’(288쪽), ‘마블링과 소고기 등급 이야기’(495쪽), ‘탕과 국은 어떻게 다른가?’(540쪽), 

‘낱말 안에서 글자의 순서’(589쪽),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말’(591쪽), ‘옥스퍼드 콤마’(602쪽) 등 

평소에 궁금하거나 알쏭달쏭했던 문제들, 한국어의 현황과 역사에 대한 다양한 지식이 흥미진진한 

외전(外傳)처럼 펼쳐진다.


《열공 우리말》은 영어 환경에서 도리어 국어의 필요성을 느끼고 모국어를 천착해온 저자의 30년간

우리말 농사의 알곡을 담았다. 1장부터 체계적으로 읽으면 우리말 개념이 바로잡히고, 어느 페이지나

내키는 대로 펼쳐 읽어도 꼬리를 무는 국어 지식과 어휘 실력을 가외로 얻을 수 있다. 초심자부터

국어 공부를 제대로 깊게 해보고자 하는 독자 모두에게 넓고 깊은 우리말의 바다를 자유로이

헤엄치는 기쁨을 알려줄 책이다.


추천사

이 책은 우리말의 넓고 깊은 바다를 헤엄치도록 도와준다. 술술 읽기만 해도 쌓여가는

우리말 어휘 실력은 덤이다.

_ 김남미(서강대학교 교수,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저자)

 

외국에서 생활하면서 고대 미술의 도상학(圖像學, Iconography)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동안,

독일어·중국어·영어는 자연히 그 나라의 문화와 함께 내 삶의 일부가 되었다. 귀국 후 오히려

모국어 앞에서 자신감을 잃은 나에게 우리말로 생각하는 법을 일깨워준 이 책은, 오랜 가뭄

끝의 단비와도 같다. _ 고혜련(단국대학교 교수)

 

신의 언어는 스웨덴어다”, “신은 당연히 세계에서 가장 완전한 언어인 독일어를 사용했을

것이다유럽인들은 오만하게 자신의 모국어를 상찬했다. 나도 이런 찬사를 당당히 한국어에

바치고 싶다. 우리 주위에는 기품 있고 제대로 된 한국어가 귀하다. 이 책은 한국인이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국어의 기본을 이야기하고 있다. 거친 광석에서 금을 뽑아내듯 우리말

실력도 다듬고 키워야 한다. _한상권(KBS 아나운서)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