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산 소총류 개발 끝!] 저격 소총 k-14를 실제로 쏴 보니...

[차 한잔]

by 지구촌사람 2018. 9. 3. 11:45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래 기사는 우리 손으로 개발한 저격용 소총 K14 외에 다른 소총들 이야기도 담고 있는데요.

이 저격 소총의 완전 세트화 개발 성공으로,

우리 손에 의한 우리 소총들의 계열 집단 생산이 완성된 셈입니다.


돌아보면 꿈같은 얘기죠.

1970년대 전반까지만 해도 한국군은 2차대전 부산물 처리 격인 미군 중고 무기 M1과 카빈을

메고 다녔거든요. (그래도 감읍하면서 받은 것들...)

당시 카빈은 하도 노쇠하셔서, 오조준이 기본이었습니다.


이 소총류 국산화는 방위산업 계열화(특화) 조치에 따라 구 대우정밀(현 S&T 모티브)이 전담해 왔습니다.

손쉬워 보이는 듯해도, 소총류 선진국들의 배짱 부리기와 텃세 탓에 엄청 고생했지요.

1973년(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던 해)에 전방 지역에 우선 지급되기 시작한 M16만 해도

미국 콜트사에 라이센스료를 내고 애걸하여 기술 지도를 받아 생산된 것이었습니다.


자력으로 소총 생산(K2)에 성공하기까지 12년의 세월이 걸렸죠.

아래에 요약된 대우정밀의 총기류 개발사를 보면, 그 인고의 과정이 들여다보일 겁니다.







위의 자료를 보면 K-14 저격 소총 개발 연도가 2013년으로 나오는데

실전용으로 완전히 자체 개발된 것은 2016년이라 해야 맞습니다.

왜냐하면 그 전에는 저격 소총의 필수품 중 필수품이라 해야 할 주간 조준경과 실탄(7.62mm)을 수입에 의존했거든요.


참, 저격용 소총은 크게 대인용과 대물용으로 나뉩니다.

대인용은 유효 사거리 800미터에 7.62밀리 탄이 거의 표준입니다 (실제로 미군과 나토 표준이 그러함).

대물용은 사거리가 무시무시하죠. 보통 1.5km이고 2km를 넘기는 것도 있습니다.

영화 '더블 타깃'에서는 4km 저격수 얘기도 나오죠.

당연히 실탄도 더 큰 걸 씁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PGM 에카테 II 같은 건 12.7mm짜리를 씁니다.



<사진 대물용 저격 소통 PGM Hekate II. 유효 사거리 2km>


'가성비'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덕분에

요새는 은근한 효자가 된 K-14의 모습과 제원 등을 구경해 볼까요.





저격 소총은 액션 볼트식이기 때문에 단발 사격을 하지만, 그래도 장전은 예전과 같은 단발 삽탄식이 아니라

 탄창을 주로 쓰죠... 사진 왼쪽은 탄창 삽입 모습. 우측은 탄창(10발짜리. 7발짜리도 있음)



저격 소총은 개인화기용 소총보다는 한참 무겁습니다.

보통 두 배 정도... 현재의 K1A 같은 경우, 조준경에다 이런저런 부착 장비를 다 해도 4kg 정도인데

K-14는 거의 8kg 가까이 되죠. 거의 모든 저격 소총의 무게가 그쯤 나갑니다.


총기 가격도 가격이지만, 저격수는 오래도록 군 복무를 해야만 그 쓰임도 빛나고

실력도 유지되기 때문에 현재는 부사관들이 저격수로 특화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위에 소개된 개발사를 보면 기관(단)총류가 잦게 보입니다.

그것은 이 총기류의 개발에 성공하면 다른 것들(온갖 부착물, 변형 및 활용)에서도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 출발은 소총입니다만.

이를테면 K1A 기관단총(경찰 특공대. 국군 특전대들이 쓰던)과 같은 경우도 그 모태는 K1A였죠.


참, 아래 기사에 '피카티니 레일'이란 말이 나옵니다. 각종 부착물을 매달기 위해 쓰이는

일종의 브라켓을 말하는데, 미국 회사의 특허 명(브랜드 이름)을 그대로 쓰다 보니 굳어진 명칭입니다.

지프차, 바리캉, 제록스... 등처럼요.

아래 사진에 피카티니 레일이 달린 것과 없는 것을 보시면, 무엇을 뜻하는지 금세 아실 것입니다.





 

<사진 (좌) 피카티니 레일이 없는 것. (우) 달린 것>



직도 우리나라 무기류의 개선 작업은 필요합니다. 여러 면에서요.

하지만 무기 개발 역사가 100년을 넘기는 나라들에 비해서,

이제 겨우 40년이 된 우리나라의 상황을 떠올려 보면, 괄목할 만한 발전을 한 것도 사실입니다.

좋은 예로, 맨처음 우리의 최초 권총인  k5가 나왔을 때 정말 실망스러웠죠.

하지만, 지금은 다른 수출 화기에 보너스 삼아 끼워주면 대환영을 받는 그런 작품(?)이 되었습니다.

묵묵히 한 우물을 파면서 수고해 온 이들 덕분이기에

그들의 땀방울을 기억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온초 [Sep. 2018]

~~~~~~~~~~~~~~~~~~~~~~~~~~~


K14 저격용 소총 직접 쏴보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1591년 조선의 국왕 선조는 대마도주가 건넨 조총 한 정을 선물받는다. 당시만 해도 선조는 조총의 위력을 알지 못했다. 하지만 다음해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조선군이 연패하면서 개인화기의 위력을 실감한다. 우리나라는 조선 선조 때가 되어서야 휴대용 화기인 승자총통과 화승총을 잇따라 개발한다.

현대에 들어서는 미군이 일본군으로부터 압수한 38식, 99식 소총을 보유하게 된다. 1948년 국군이 창설되면서 미군의 M1소총과 M1보다 짧고 가벼운 M1카빈소총이 보급됐다. 군인 출신인 박정희 전 대통령은 자주국방의 기치를 내세우며 국방부 산하에 조병창을 세웠다. 우리 손으로 만든 총 한 자루 없이 한국전쟁을 치른 설움이 컸기 때문이다. 조병창은 1981년에 대우정밀공업(현 S&T모티브)으로 민영화되면서 소총 개발에 속도가 붙었다. 소총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보기 위해 지난달 27일 S&T모티브 부산공장을 찾았다.

빗방울이 쏟아지는 S&T모티브 야외사격장에 도착하니 우리 군이 보유하고 있는 K계열 소총이 사격대 책상위에 놓여있었다. 실탄을 가득 채운 탄창 10여 개가 눈에 들어왔다. 긴장되는 순간이었다. 가장 먼저 눈에 띈 소총은 K1A기관단총. 얼뜻 보아서는 현재 우리 군에 보급된 소총과 비슷해 보였지만 실제로는 달랐다. K1A를 변형한 K1A기관단총은 각종 특수장비를 장착할 수 있도록 총열덮개 부분에 '피카티니 레일(Picatinny Rail)'을 달았다. 기관단총은 기계장치에 의해 연발이 가능하지만 '서브(Sub)' 라는 말이 붙을 만큼 매우 작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총이다. 육군은 K1A기관단총을 '워리어 플랫폼(Warrior Platform)'에 적용해 보급할 계획이다.

K1A를 들어올리자 묵직했다. K1A 소총의 무게는 약 2.87kg. 조준ㆍ확대경과 표적지시기, 소음ㆍ소염기 등 각종 장비를 부착해도 1kg 정도 늘어나는 수준에 불과해 크게 무겁지 않았다. 조준경을 통해 본 과녁은 선명했다. K1A 소총에 3배율의 조준경이 적용되면서 과녁이 크게 보인 탓이다. 단발에 놓고 10발을 80m 전방 과녁을 향해 발사했다. 100% 명중. 10발은 모두 과녁을 꿰뚫었다. 자신감에 연발발사에 도전했다. 방아쇠를 당겼다. 20여발이 쉴새없이 뿜어져 나왔지만 기존의 K1소총보다 안정감이 있었다. 조절식 개머리는 기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5단으로 조절이 가능해 충격도 충분히 흡수했다. 사격을 모두 마치자 레일부분이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왼손으로 레일밑부분을 잡을 수 있는 전방손잡이가 장착된 이유를 그제서야 알았다. 전방손잡이는 오히려 연발발사에서 소총의 흔들림을 막아주는 역할도 했다.

업체 관계자는 "기존의 K1보다 소음과 섬광을 대폭 줄여 전시에 적에게 노출될 위험을 줄였다"면서 "우리 군의 특수부대는 물론 피지, 나이지리아, 방글라데시, 세네갈, 인도네시아, 캄보디아도 사용하고 있는 명품 기관단총"이라고 말했다.



이번엔 K2 소총을 개선한 K2C1 소총을 집어들었다. K2C1 소총은 기존 K2 소총의 개머리판과 총열덮개 부분을 개량한 것이 특징이다. 개머리 부분을 접철 및 5단계 조절식으로 개선해 펼쳤을 때 전장이 1014mm로 기존 K2 소총 대비 34mm를 늘일 수 있게 만들었다. K2 소총 생산을 시작한 지 30년이 흐르는 동안 병사들의 키가 커졌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이밖에도 탈착식 가늠자, 부가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총열덮개, 전방손잡이 등을 더해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K2는 K1A보다 소총길이가 길었다. 그만큼 K2의 유효사거리도 K1A(400m)보다 200m가 길다. K2 소총은 옛날방식대로 조준 가늠자를 통해 과녁을 조준해야했다. 그만큼 과녁을 조준하기가 힘들었다. 단발로 사격을 연이어 했지만 명중률은 K1A보다 떨어졌다. 명중률 80%. 조준 ㆍ확대경이 왜 있어야 하는지 절실히 느끼는 순간이었다. 연발을 놓고 사격하자 유효사거리가 긴만큼 어깨로 느끼는 충격은 강했다. 소총의 방향이 틀어질 정도는 아니었지만 어깨에 힘이들어가기에 충분했다.

이번엔 K-14 저격용 소총에 겁없이 도전했다. K-14 저격용 소총은 2013년 순수 독자 개발된 7.62mm 소총으로 외국군도 구매욕심을 내는 수출효자상품이다. 초정밀 기술이 집약돼 1MOA(100야드 밖에서 사격 시 1인치 표적 안에 탄착군 형성)에 적합한 시험평가도 무난히 통과했다. K-14 사격을 하기 전에 사격방법을 먼저 경청했다. 저격용 소총은 일반 소총보다 민감하다. 방아쇠를 당길 때도 미세하게 움직이며 숨을 죽여야만 했다. 왼손으로 주먹을 쥐고 방아쇠 손잡이를 받쳐줘야 했다. 주먹을 펴다 쥐다 하면 과녁의 눈높이를 쉽게 맞출 수 있었다.

80m 전방의 과녁표지판이 눈에 들어왔다. 집게손가락을 방아쇠에 걸며 살며시 만졌다. 숨을 쉴 때마다 과녁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숨을 참고 방아쇠를 잡아당겼다. '탕!', 총알은 5cm 넓이의 과녁을 약간 벗어났다. 다시 한번 정조준했고 이번엔 2발 연속 과녁을 뚫었다. 업체관계자는 4cm크기의 K4 탄피를 가리키며 도전해보라고 권유했다. 저격용 소총을 쏠 때마다 자신감에 찼다. 긴장을 풀고 쏜 결과 탄약통을 정확히 명중시켰다.

업체 관계자는 "S&T모티브는 K-14 저격용 소총을 개발하며 세계에서도 유래가 드물게 권총, 돌격소총, 기관총, 고속유탄기관총, 저격용 소총에 이르기까지 풀라인업(Full Line-up)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사격을 마치고 방탄복을 벗자 온몸은 그새 땀 범벅이 됐다. 긴장한 탓에 어깨는 천근만근이었다. 하지만 우리 기술로 만들어낸 소총으로 정중앙을 뚫은 과녁을 보니 뿌듯하기만 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