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달인 문제 택배 서비스]우리말 겨루기 달인 도전 문제 핵심 풀이(30) : 658회(2017.3.13.) ~659회

달인 도전 문제 핵심 풀이

by 지구촌사람 2017. 10. 14. 07:40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달인 도전용으로 출제된 문제들만을 뽑아서

맞춤법/띄어쓰기 풀이를 요약하여 게재합니다.

) --> 

지금까지 <우리말 겨루기> (이하 '우겨'로 약칭)1회분 문제 전체를

2회에 나누어서 문제 풀이를 게재해 왔는데,

그 분량이 20여 페이지에 이를 정도로 많아서 전체를 정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 --> 

특히 달인 도전 문제에서 보이는 여러 가지 출제 경향들을

집중적으로 관심하기에는 여러모로 불편한 점들이 있다는 말이 있어서요.

) --> 

달인 도전을 위해 애쓰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빕니다.

) --> 

1. 게재 대상은 3연승제 이후에 시행된 1인 도전용 출제분입니다.

3회분은 한 번에 읽기에 분량이 벅차다고들 하셔서.

2회분으로 줄였습니다.

) --> 

2. 문제 풀이에 사용된 자료들은 이 '우겨' 참가자들을 위해 간행한

내 두 책자 <고급 한국어 학습 사전>1차 개정판(2015. 1532)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2차 개정판(2017. 762)입니다.

지면 절약을 위해, 책자 내용 중 필요 부분만을 발췌/압축했습니다.

) --> 

3. 여전히 복사를 허용하지 못함을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저자라 할지라도 출판사와의 저작권 협약에 따라 출판사의 동의 없이는

외부로 출판물 내용의 복사를 허용할 수 없어서요. [溫草]

~~~~~~~~~~~~~~~~~~~~~~~~~~~~~~~~~~~~~~~~~~~

<우리말 겨루기> 달인 도전 문제 핵심 요약 풀이 [30]

    - 658(2017.3.13.) ~659

 

70. 658(2017.3.13.) 이은민/장은혜 양 우승

- 문제와 정답 : 3학년 내내 눈쌀을/눈살을(o) 찌푸린 채 새치름한(o)/새초름한 표정으로 지냈던 동생이 어엿이(o)/어엿히 대학에 합격해 학교 기숙사로 떠났다. 서로 이 꼴 저 꼴 다 보여(o)/이꼴저꼴 다 보여/이꼴저꼴 다보여 가며 같짢은/같잖은(o)/같찮은 말로 많이 싸우면서도 속속이/속속들이(o) 마음을 터놓던 동생이 막상 없으니 마음 한 구석이/한구석이(o) 괜스레 시원 섭섭했다/시원섭섭했다(o).


- 이 꼴 저 꼴 다 보여/이꼴저꼴 다 보여/이꼴저꼴 다보여 : 1편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주어진 말에 이꼴 저꼴형태가 있었더라면 이꼴 저꼴 다 보여도 정답이었다. 이유는 연속되는 단음절은 원칙적으로는 띄어 적어야 하지만, 문맥상 의미 혼란이 오지 않는 한은 붙여 적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맞춤법 제46)

) --> 

이참에 이에 관한 상세 설명을 하기로 한다. 상세히 살펴 올바로 이해하시길. 무조건 연속되는 단음절이라 해서 모두 붙여 쓸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 문제가 나오면 되레 그것이 함정이 된다. 고급 문제여서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는 없지만, 알 수 없는 일이다.

) --> 

[규정] 46 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 (허용) 그때; 그곳; 좀더 큰 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풀이] 단어와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한 음절 단어가 연속될 때에 이것을 모두 띄어 쓰면 독서 능률이 떨어진다.

) --> 

보기> . 좀 더 큰 이 새 집 . 좀더 큰 이 새집

) --> 

(보기)()()을 비교하면 () 쪽이 시각적으로 어색하다. 따라서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는 ()처럼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띄어 씀을 허용하는 것은 관형사와 명사, 부사와 부사가 연결되는 구조와 같이 자연스럽게 의미적으로 한 덩이를 이룰 수 있는 구조에만 적용된다.

) --> 

보기> . 큰것 . 좀더 아름다운 선물

) --> 

따라서 부사와 관형사나 관형사와 관형사가 연결될 때에는 띄어 써야 한다.

) --> 

보기> . *더큰것 더 큰 것 더 큰것

. *저새 집 저 새 집 저 새집

) --> 

한 음절로 된 부사와 부사가 이어서 나타나더라도 그 부사가 성질이 아주 다른 것은 띄어 써야 한다.

) --> 

보기> . *더못 간다. 더 못 간다.

. *꽤안 온다. 꽤 안 온다.

) --> 

(보기)에서 <, >는 정도 부사이고, <, >은 부정 부사이다. 따라서 이들은 그 성격이 다른 것이므로 붙여 쓰지 못한다.

) --> 

위의 설명이 이해되신 분들은 아래의 예제를 보며, 다시 한 번 더 정리하시기 바란다. 내 책자에는 여러 곳에 이 연속되는 단음절 붙여 쓰기 관련 사항이 들어 있다. 그만큼 까다로운 규정이기도 하다.

) --> 

별볼일/별볼 일 없는 일로 웬 법석이냐 : 별 볼 일의 잘못.

[주의] 별볼일/별볼 일도 없이 얼쩡거리기는 : 별 볼일의 잘못.

[설명] 별볼일은 없는 말. ‘별볼 일이 성립하려면 별보다가 있어야 하는데, 없는 말. ‘별 볼 일 없다/있다는 관용구. 관용구이므로 연속되는 단음절어 붙여 적기 허용도 곤란함. 별 볼일은 관형사 (보통과 다르게 두드러지거나 특별한)’볼일(해야 할 일)’을 꾸며주는 형태로서, ‘특별히 해야 할 일을 의미하며, 관용구로 쓰일 때의 별 볼 일과는 다른 의미임.

) --> 

별 볼 일 없다[관용구] 대단하지 않고 하찮다.

별 볼 일 있다[관용구] 보통과 구별되게 다르다.

) --> 

이 날 저 날 하면서 날짜만 질질 끌더니 : 이날 저 날[원칙](혹은 이날 저날)의 잘못.

[설명]'이 날 저 날 이날 저날'. 연속되는 낱 낱말 붙여 쓰기 허용. 이날은 바로 앞에서 이야기했던 특정한 날의 의미로는 붙여 씀. 저 날은 어떤 경우에도 한 낱말이 아님. 반드시 띄어 씀.

) --> 

이날[]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날. ¶작년 첫눈 오던 날. 우리는 이날 처음으로 만났다.

이날 이때까지[관용구] 오늘에 이르기까지.

) --> 

[참고] 차일피일하다[此日彼日-][] 이 날 저 날 하고 자꾸 기한을 미루다.

) --> 

이때 이 날인 것은 위에 나온 특정한 날의 의미가 아닌 때문. 그러나, 연속되는 낱 낱말들은 붙여 쓸 수 있으므로 이날 저날 하고’(o)도 가능함.표준에서는 속담 용례로 이날만 붙여 쓰고 있음[원칙]. ¶이날 저 날 한다.

) --> 

- 한 구석이/한구석이 : 언뜻 생각하면 당연히 한 구석으로 띄어 적어야 할 듯한 말이다. 하지만, 속단은 금물. 한구석에는 글자 그대로의 한쪽으로 치우쳐 구석진 곳이라는 뜻 외에 한쪽 면. 또는 한쪽 부분이라는 뜻도 있다. ‘어느 한구석 나무랄 데가 없다라고 할 때의 한구석이 바로 후자의 의미로 쓰인 경우다. 그 때문에 한 낱말의 복합어.

) -->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 한 가지. 이럴 때 보면 이 한구석대신에 열 중 아홉이 한 켠이라는 표현을 쓴다. 그것도 띄어쓰기까지 챙겨서. 하지만, 이 말은 어떤 사전에도 보이지 않는 비표준어. 반드시 기억해 두시길! 구석//을 뜻하는 비표준어라는 것을. 그리고 그런 의미로는 복합어이므로 띄어 쓰면 도리어 잘못이다. 그래서 표준 표기들은 모두 한 낱말로 되어 있다.

) --> 

안 쓰는 건 한켠으로 치워라. 뒤켠에 둬 : 한편(한쪽), 뒤편(뒤쪽)의 잘못.

[설명] ‘은 대표적인 비표준어로 사전에 없는 말. ‘’(혹은 ’)의 잘못.

) --> 

- 새치름한/새초름한 : 주의해서 살피지 않으면 둘 다 정답으로 삼기 딱 좋을 정도로 무척 까다로운 문제. 1편에서 간단히 언급했듯, ‘새치름하다>새초롬하다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새초하다2011년 이전까지만 해도 새치름하다의 잘못으로 다루던 말인데, 2011831일에 복수표준어로 인정된 말이다.

) --> 

새 색시는 일부러 새초롬한(새촘한)표정을 지으며 : 새색시의 잘못. 새초롬한(새촘한은 맞음. 새초롬하다는 예전에 새치름하다의 잘못이었으나 복수표준어로 인정됨. ‘새촘하다새초롬하다의 준말.

[참고] 모두 한 낱말 : 새색시/새댁/새물/새바람/새장가/새살림/새신랑/새서방/새사람/새아기/새아가/새아씨/새언니/새아빠/새집/새살/새잡이.

) --> 

새물[] 새로운 사상/경향. 새로 나온 과일/생선. 빨래하여 막 입은 옷.

새잡이[]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 다시 새로 시작하는 일.

새치름하다[] 조금 쌀쌀맞게 시치미를 떼는 태도가 있다. ¶새침하다?


-같잖은/같짢은/같찮은 : 준말에서의 ‘-/-표기를 구분하는 문제는 비교적 까다로운 편인데, 이번 출제된 낱말은 기본적인 수준의 것. 이에 관해서도 이곳에 두어 번 다룬 바 있지만, 한 번 더 전재한다. 이참에 깊게 살펴서 유사 문제가 출제될 경우에 자신 있게들 정답 행진을 하시기 바란다.

) --> 

[고급] ‘-/-의 문제(1)

[예제] 그는 바깥출입을 하찮고(x)/하잖고(o) 공부만 했다.

그 일에 대해선 더 이상 생각찮고(x)/생각잖고(o) 앞만 보고 가겠다.

[설명] 한글 맞춤법 제39항 규정에 따르면, ‘-지 않-’이 줄면 ‘--’으로, ‘-치 않-’이 줄면 ‘--’으로 적도록 되어 있으므로 앞말이 ‘-‘-냐에 따라 달리 적음. ‘-않다/못하다와 같은 보조동사(보조형용사)와 결합하여 부정(否定)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 쓰는 어미. 따라서 모든 어간에는 ‘-가 붙는 것이 원칙. ‘-()’로 끝난 어간에 ‘-‘--’와 어울려 줄어든 것으로, ‘--’의 준말 현상은 아래의 3가지로 나타남 : ‘--’가 줄고 이 다음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되는 것 (어간 끝소리가 //가 아닐 때임). <>간편하게간편케; 흔하지흔치; 대단하지대단치; 심심하지심심치; 만만하지만만치; 단언하건대 단언컨대; 간편하게 간편케; 다정하다 다정타; 흔하다 흔타). 이 어간의 끝소리로 줄어든 것 [‘불규칙용언과 같은 변화를 보임]. <>아무러하다아무렇다; 이러/그러/저러하다이렇다/그렇다/저렇다. 어간의 ‘--’가 완전히 줄어든 경우 [어간 끝소리가 //일 때]. <>거북하지거북지; 생각하건대생각건대 [비교]단언하건대 단언컨대).

) --> 

의 경우는 ‘-‘-로 변화하는 일반적인 경우로서, ‘-으로 적음. 의 경우처럼 ‘-‘-로 변하지 않는 때에는, ‘--’으로 적음. <>아무렇잖다/이렇잖다; 거북잖다/생각잖다; 귀찮()/점잖()귀찮잖다/점잖잖다. ☞♣어간 ‘-의 단축형 항목 참조.

) --> 

[정리] ‘하다가 붙는 말 중 하다를 제외한 부분이 ///로 끝나지 않는 경우에만 ‘--’을 쓰고, 나머지는 ‘--’을 씀!

) --> 

[고급]‘-/-의 문제(2)

) --> 

[예제] ‘익숙찮다(x)/익숙잖다(o); 귀찮찮다(x)/귀찮잖다(o); 점잖찮다(x)/점잖잖다(o); 서슴찮고(x)/서슴잖고(o); 심심찮다(o)/심심잖다(x)’

) --> 

[설명] 익숙지 않다 (+) 익숙잖다’. 받침 //뒤에서 어간 가 줄 때는 격음화가 배제되어 익숙지가 되며, ‘익숙지 않다는 어미 ‘-뒤에 -’이 어울려 ‘--’이 되는 경우이므로, ‘익숙잖다로 표기. 대단잖다(x)/대단찮다(o); 심심잖다(x)/심심찮다(o); 만만잖다(x)/만만찮다(o)’의 경우에는 한글 맞춤법 제39어미 '-' 뒤에 '-'이 어울려 '--'이 될 적과 '-하지' 뒤에 '-'이 어울려 '--'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라는 규정에 따른 것. 나아가, ‘귀찮-/점잖-’처럼 어간 끝소리(終聲)인 경우에 {}으로 소리 나더라도, 위의 규정에 따라 (+), ‘귀찮지 않다 귀찮잖다, 점잖지 않다 점잖잖다와 같이 표기함. ‘서슴잖고(o)’의 경우에도 서슴지 않고 서슴잖고의 변화이므로 서슴찮고’(x)는 잘못. (‘서슴찮고가 성립하려면 서슴하지 않고의 꼴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활용은 없음.)

) --> 

-속속이/속속들이; 어엿이/어엿히 : 기본적인 표준어 표기 문제. ‘속속들이에 보이는 ‘-들이온통, 깊이를 뜻하는 의미를 더하는 접사적 기능을 하는 말이다. ‘뼛속들이/총총들이의 두 낱말이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 --> 

어엿이하다로 끝나는 말 중 부사()에서 로 표기해야 하는 경우. 이곳 문제 풀이를 대해 온 분들은 지겹도록(?) 대한 내용이므로 설명 전재는 생략한다.

) --> 

-눈쌀을/눈살을 : ‘눈꼽(x)/눈곱(o)’ 등의 경우와 같이 의미소와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 반대로 눈썰미/눈썹등의 경우는 의미소와 무관하기 때문에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 --> 

눈쌀 찌푸릴 일이로군 : 눈살의 잘못.

[비교] 눈설미 하나는 알아줘야 해 : 눈썰미의 잘못.

하도 아이들 등살에 시달려 살이 빠졌어 : 등쌀의 잘못.

) --> 

[설명] 눈꼽’(x)/‘눈곱’(o)과 마찬가지로 의미소 을 살림. 받침 ///뒤에 오는 예사소리의 경음 표기 원칙에 적용되지 않음. 그러나, ‘눈살의 발음은 {눈쌀}. [주의]. 눈썰미/귀썰미의 경우는 한번 보거나 들은 것을 기억하는 재주로서의 ‘-썰미’. 형태소(의미소) ‘-설미와 무관하므로, ‘-썰미. ‘눈썹의 경우도 마찬가지. 등쌀에 시달리다와 같은 경우는 등쌀’. 의미소 과 무관하기 때문. 의미소 을 살리면 등에 있는 살이 되며, 발음은 {등쌀}.

) --> 

눈살1[] 두 눈썹 사이에 잡히는 주름.

눈살2[] ①≒눈총. 애정 있게 쳐다보는 눈.

등살{등쌀}[] 등에 있는 근육.

) --> 

71. 659(2017.3.20.) ‘청주의 성룡민병학 님 우승

) --> 

-지문에서 공부해 두어야 할 말 : 반드시 공부해 둬야 할 것으로 함께하자며가 있었다. 함께하다는 아주 중요한 말이자, 띄어쓰기에서 조심해야 할 말이다. 같은 말로 같이하다가 있다. , 함께 한다고 해서 언제나 한 낱말의 복합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예문을 잘 살펴보시기 바란다. 아울러, ‘다 같이, 다 함께의 경우도 한 낱말이 아니라는 걸 유념들 하시길!

) --> 

그런 상황에서도 우리와 함께 하려는 뜻이 정말 고맙네 : 함께하려는의 잘못.

힘을 모아 함께하면 이 쓰레기도 금방 치울 텐데 : 함께 하면의 잘못.

함께하다같이하다? ①경험/생활 따위를 얼마 동안 더불어 하다. 서로 어떤 뜻/행동/때 따위를 동일하게 가지다. [주의] ‘같이하다라는 뜻으로만 한 낱말.

) --> 

- 문제와 정답 : 3년을 정다이(o)/정다히 사귀어 온 새침데기(o)/새침떼기 여자 친구에게 드디어 청혼을 하였다. 먼훗날/먼 훗날(o)까지 함께하자건넨(o)/건낸 반지를 말끄라미/말끄러미(o)/멀끄러미 바라보던 그녀는 한참을 울고불고하더니(o)/울고불고 하더니/울고 불고 하더니 겨우 마음을 추스렸다/추슬렀다(o)/추슬렸다. 햇쑥/햅쑥/해쑥(o)이 돋는 봄에 우리는 부부가 된다.

) --> 

) --> 

-새침데기/새침떼기 : 이곳에서 여러 번 다룬 ‘-데기/-떼기구분 문제. 분량 관계로 해당 부분만을 전재한다.

) --> 

새침떼기 : 새침데기의 잘못.

[유사] 부엌떼기(x)/~데기(o); 소박떼기(x)/~데기(o); 얌심떼기(x)/~데기(o)

[주의] ‘새침을 떼다도 있으나, 새침을 떼는 사람은 새침데기’. ‘-데기‘-떼기항목 참조.

) --> 

새침을 떼다[따다]새치미() 떼다[따다]? 쌀쌀맞게 자기가 하고도 아니 한 체, 알고도 모르는 체 하다. 떼기데기참조.

) --> 

-햇쑥/햅쑥/해쑥 : 어두음이 경음/격음일 때는 -’를 쓴다. 이 또한 오래 전에 한 번 다룬 바 있다. 아래 참조.

) --> 

◈♣-’-’

[예제] 햇콩을 넣어 밥을 해먹자 : 해콩의 잘못.

햇쌀밥은 정말 맛있지 : 햅쌀밥의 잘못.

햅보리가 벌써 나왔다고? : 햇보리의 잘못.

) --> 

-? 어두음이 된소리/거센소리인 일부 명사 앞에 붙어, ‘그해에 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해깍두기? 봄에 새로 담근 깍두기.

해쑥? 그해에 새로 자란 여린 쑥.

해암탉? 그해에 새로 난 암탉. 어두음이 된소리/거센소리가 아닌데도 .

해콩? 그해에 난 콩.

해팥? 그해에 난 팥.

) --> 

-? 어두음이 예사소리인 일부 명사 앞에 붙어, ‘그해에 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햇감자/햇강아지/햇것/햇고구마/햇고사리/햇과일햇과실/햇실과/햇김/햇담배/햇김치/햇나물/햇누룩신국(新麴)/햇돝/햇마늘/햇박/햇밤/햇닭/햇벼/햇보리/햇비둘기/햇새/햇소/햇솜’.

) --> 

햇가지신지(新枝)/신초(新梢)? 그해에 새로 나서 자란 가지.

햇거지? 그해에 새로 생긴 거지.

햇동? 햇곡식이 나올 때까지의 동안.

햇밥? ①그해에 새로 난 쌀로 지은 밥. 새로 지은 밥을 찬밥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햅쌀신미(新米)? 그해에 새로 난 쌀.

햅쌀밥? 그해에 새로 난 쌀로 지은 밥.

햇병아리? ①새로 부화된 병아리. (비유)‘풋내기’.

솜병아리? 알에서 깬 지 얼마 안 되는 병아리. 털이 솜처럼 부드럽다.

햇잎? 새로 돋아난 잎.

) --> 

[참고] ‘의 경우에만 -’이 되는 것은 본래 의 옛말이 초성 ’+(아래아)+‘로 표기되었기 때문에 복합어를 이룰 때에도 어원을 밝히기 위해 초성 중의 을 살려 적기 때문임.

) --> 

- 추스렸다/추슬렀다/추슬렸다 : 올바른 활용형 표기에서는 원형(어근)을 떠올리면 크게 도움이 된다. 원형이 추스르다이므로 추스렸다/추슬렸다가 자연히 오답이 된다. 왜냐, 각각 추스렸다 추스리었다추슬렸다 추슬리었다이므로, 이것들이 정답이 되려면 원형의 어근이 추스리-/추슬리-’의 꼴이어야 하기 때문. 추스르다는 흔히 추스리다로 잘못 쓰는 일이 매우 잦은 말이다.

) --> 

몸을 추스리는 대로 나갈게 : 추스르는의 잘못. 추스르다[]

몸이나 추스린 뒤 보든가 하자 : 추스른 뒤의 잘못. ☜♣모음이 쓰여야 할 곳에 모음이 잘못 쓰인 경우들 항목 참조.

) --> 

추스르다? ①추어올려 다루다. 몸을 가누어 움직이다. /생각 따위를 수습하여 처리하다. []수습하다, 가다듬다

) --> 

- 건넨/건낸 : 별도 설명이 필요 없는 말. 원형이 건네다이므로 활용은 건넨’.

- 먼훗날/먼 훗날 : 이 또한 이곳에서 수없이 언급했던 복합어 판별의 기본 원칙, 곧 글자 그대로의 뜻 외의 뜻을 갖고 있지 않으면 굳이 복합어로 인정할 이유가 없다. 고로, ‘먼 훗날’.

) --> 

- 정다이/정다히 : ‘정답다에서 전성된 부사. ‘-답다꼴의 형용사는 부사어 답게로 변화하는데(보조적 연결어미), ‘정다이만은 예외적인 부사.

) --> 

꽃다이 산화한 젊은 넋 : 꽃답게(혹은 꽃처럼)의 잘못. 없는 말.

[비교] 학창시절 정다이 지낸 우리 둘 : 맞음.

[설명] 일부 명사 뒤에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답다‘-답게로 활용함. , ‘정다이한 낱말만은 예외.

) --> 

정다이[-]? 따뜻한 정이 있게.

) --> 

- 울고불고하더니/울고불고 하더니/울고 불고 하더니 : 이 역시 이곳에서 여러 번 다뤘던 긴 어절의 복합어 판별 문제. 분량 관계로 일부만 전재한다. 전체적인 내용은 내 책자 중 준첩어항목에 있다.

) --> 

들랑날랑 하지 말고 한 자리에 좀 있어라 : 들랑날랑하지/들락날락하지의 잘못.

[유사] 우왕좌왕 하지 말고; 티격태격 하지 마라; 울고불고 하기 전에 : 우왕좌왕하지, 티격태격하지, 울고불고하기의 잘못. 모두 한 낱말.

[설명] 들랑날랑들락날락?‘~하다가 붙으면 한 낱말의 동사. 이와 같이 준첩어 부사 또는 부사어에 ‘~하다를 붙여 용언을 만드는 조어법에 해당하는 것들로는 아기자기하다/우왕좌왕-/오밀조밀-/티격태격-/비일비재-/두루뭉술-/옥신각신-/울고불고-/혼비백산-’ 등 무수히 많음. 준첩어항목 참조. 들랑날랑’ : 틀린 말이 아님.

) --> 

[주의] ‘첩어/준첩어 + 하다의 구성일지라도 관용구일 때는 의미가 특정되어 일반적인 뜻이 아니므로, 붙여 쓰지 아니함. <> ‘보자 보자 하다?(마음에 들지 않지만 참고 또 참다)’; ‘오라 가라 하다?(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성가시게 오가게 하다)’; ‘왔다 갔다 하다?(정신이 맑았다 흐렸다 하다)’; ‘난다 긴다 하다?(재주나 능력이 남보다 뛰어나다)’;‘ 늘고 줄고 하다?(융통성이 있다는 말)’; ‘뭐라 뭐라 하다?(똑똑히 알 수 없게 무어라고 말하다)’.

) --> 

- 말끄라미/말끄러미/멀끄러미 : 헷갈리기 쉬운 문제. ‘말끄러미<물끄러미의 관계다.

) --> 

멀끄러미 넋놓고 뭘 보니? : 물끄러미, 넋을 놓고의 잘못.

[설명] 멀끄러미물끄러미의 잘못. ‘말끄러미<물끄러미의 관계. 넋놓다() 놓다의 잘못으로 없는 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