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사내다워야지 여자스러워서야 어디...’
가부장제의 힘이 강건할 때 흔히 듣던 말이다. 요즘엔 어디서 함부로 그런 소릴 내놓고 하다가는 여성들의 무릿매(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덤비어 때리는 매)를 불러들이는 짓이 되지만.
아래의 예문에는 그 의미가 비슷하면서 다르게 쓰인 접미사 ‘-답다’와 ‘-스럽다’가 들어 있다. 이 두 말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그 답을 알려면, 또 다른 예문들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예문 1] 꽃다운 꽃; 과연 지도자/여장부답다
여기서 보듯, ‘답다’는 성질 또는 특성/자격이 있음을 뜻한다.
[예문 2] 복스럽게도 먹는다; 그 아이는 어른스럽다; 그건 바보스러운 짓이야
예문에서 보듯 ‘-스럽다’ 역시 ‘그러한 성질이 있음’을 뜻하는 접미사다.
그렇다면 두 말은 아무 때나 구별 없이 쓰일 수 있는 것일까? 아니다. 아래에 잘못 쓰인 문장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그 답이 조금 보인다.
[예문 3] 그 아이는 어른답다; 그 바보 녀석은 하는 짓이 정말 바보스럽다.
쉽게 정답을 찾아내긴 어렵지만, 뭔가 좀 이상하다는 느낌들은 받으셨으리라.
‘-답다’나 ‘-스럽다’는 둘 다 어떤 성질/특성/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하는 건 같은데, 쓰이는 환경이 다르다. ‘-답다’는 어떤 대상에 대한 긍정을 전제로 하여 쓰이고, ‘-스럽다’는 부정을 전제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답다’는 처음부터 ‘X는 Y다’를 전제로 하고, ‘-스럽다’는 ‘X는 Y가 아니다’라는 걸 전제로 하여 쓰인다. 위의 예문 3을 보자. 아이는 어떻게 해도 어른이 아니다. 또 바보는 어떻게 해도 바보다. 바보인 한은 바보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아이=어른을 전제로 하여 쓰이는 ‘답다’를 쓰면 말이 안 된다. 따라서 '그 아이는 어른답다'는 부적절한 표현이고 ‘그 아이는 어른스럽다’라고 해야 한다.
‘바보스럽다’라는 말은 바보가 아닌 사람이 바보스러운 짓을 할 때 쓰는 말이다. 즉 애초부터 바보인 사람은 바보다운 것이지 바보스러운 게 아니다. 따라서, '그 바보가 하는 짓을 보니 과연 바보답다; 멀쩡한 사람이 어째 그리 바보스러운 짓을 하는고?'처럼 쓰여야 자연스러운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제 확실히 구분들이 되셨는지. 제목에 쓰인 예문으로 돌아가 익힌 내용을 활용하여 종합 복습을 해보자.
‘남자는 사내다워야지 여자스러워서야 어디...’
남자=사내이므로 남자는 ‘사내다워야지’를 써야 하고, 남자≠여자이므로 ‘여자스러워야’를 쓴 것이다. ‘-답다’와 ‘-스럽다’는 사용 환경에 따라서 이렇게 구분해서 써야 바르다.
그러므로 사랑하는 여인에게, ‘당신은 참 여자다워’라고 하는 말은 적절하지만, ‘당신은 때로 여자스러워’라고 해서는 자칫하면 따귀도 맞는다. 여자답지 않은 사람이 꾸며서 여자스럽게 보이려고 한다는 뜻도 될 수 있으므로.
언어가 그 사람이다! 여성에게 여자스럽다고 말하면 그건 결례다. 진정으로 남자다우려면 말도 제대로 가려서 해야 한다. 진짜 남자는 언어에서도 다르다. 인기 영화들은 그 대사들에서 유독 빛나듯. 하하하.
<사진> 책 읽어주는 남자(The Reader)의 한나: '독서 먼저, 섹스는 뒤에'. 30대 문맹녀 한나는 너무나 책을 읽고 싶어서 매번 10대 청소년 미하엘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부탁하곤 한다. 독서부터 하고 섹스는 그 뒤에 하자며...
<사진> 러브 스토리: Love means never having to say you're sorry. 이걸 '사랑은 미안하다고 말하는 게 아니야'로 유통돼 왔는데, 대표적인 오역이다. '사랑은 굳이 미안하다고 얘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에요(미안하다고 말 안 해도, 사랑은 다 알아요)'가 바른 뜻이다.
<사진> 터미네이터의 슈왈제네거: '여기 있어요. 돌아올게.' 이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남자가 하는 말은 그 약속을 지킨다는 표면적인 뜻과 속편 터미네이터를 통해서 다시 등장할 것이라는 암유를 담고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첫 번째 의미에서 명대사로 친다.
<사진> 기생충의 송강호. "아들아. 역시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요즘 어디서고 이 말의 복제판들이 힘을 얻고 있다.
<사진> 베테랑의 황정민: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 타 서의 동료 형사에게 쏟는 말. 경찰청장의 취임사에서까지도 인용돼 쓰였다.
-온초[10 Sep. 2020]
‘사물놀이’와 ‘가야금’을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0) | 2022.09.17 |
---|---|
[맞춤법 택배 서비스] "하관이 빠르다"? 하관은 '빠르지도' 않고 '빠지지도' 않는다. '빨'거나' 뾰족하거나 길 뿐이다. '빨다'가 기본형, '길다'의 활용을 떠올리면 도움이 된다. (2) | 2022.09.12 |
한심한 2022년 제2차 <표준국어대사전> 정보 수정: ‘곱슬’을 명사로 추가한 것, 하나뿐 (0) | 2022.09.07 |
[판치는 가짜 외래어들] 우리말 순화어(2탄): 팬데믹, 엔데믹, 라스트 마일, 뉴 노멀 (0) | 2020.07.08 |
[맞춤법 택배 서비스]작가들의 흔한 실수 : ‘-하다’의 띄어쓰기 [미안해 하다(x)/미안해하다(o); 어처구니없어 하다(x)/어처구니없어하다(o)] (0) | 2019.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