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띄어쓰기·맞춤법 실전 문제 : 한자를 잘 모르면 이런 실수는 다반사(4)

우리말 공부 사랑방

by 지구촌사람 2014. 3. 28. 04:50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띄어쓰기·맞춤법 실전 문제 : 한자어 관련 문제(4)

 

[사례4] 한자어이기는 하나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예

 

나이를 짐작하기 어려운 중년 여인을 두고 묘령의 중년 여인이라고 묘사한 소설 구절이 있었다. ‘묘령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려 하지 않은 채 나이가 얼마인지 모른다는 뜻으로 작가가 함부로 추측한 경우다. 묘령(妙齡)’방년(芳年)’과 마찬가지로 20살 전후의 나이를 뜻하는 말이다. ‘묘령의 중년 여인은 나이 지긋한 중년 여인이 졸지에 젊은이로 둔갑하게 되는 일이므로, 나이 짐작이 어려운 중년이 아니라 신출귀몰한 재주꾼에 대한 묘사가 되고 만다.

 

씨는 출감하자마자 000 총재의 자택을 찾았다.’라는 표현도 있다. 총재의 집이 그의 집으로 바뀔 수도 있는 문제적 표현이다. 자택이란 자기 집, 내 집을 한자어로 표기한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남의 집을 높여서 이르려면 ()’ 정도가 적절하다. 물론 총재의 사무실이나 다른 곳을 찾아가지 않고 그의 집으로 갔다는 뜻을 표현하기 위해서 자택이라 적었겠지만, 그럴 경우에도 정도면 족하다.

 

[실전 문제]

 

그는 000 총재의 자택을 방문하여 넙죽 인사를 올렸다 : 의 잘못.

[설명] ‘자택자기 , 내 집을 뜻하는 말로, ‘을 뜻하는 높임말이 아님. 위의 문맥대로라면 자칫하면 000 총재의 집이 졸지에 의 집으로 둔갑할 수도 있음. 남의 집/가정을 높여 이르는 말을 쓰고자 한다면, ‘정도가 적절함. [주의] 접미사로 쓰이는 ‘-도 있으므로, 띄어쓰기에 유의!

()? ①남의 /가정의 높임말. ¶선생님 댁; 총장님 댁. 남의 아내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 주로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아랫사람의 아내를 이름. []부인. ? 듣는 이가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아랫사람인 경우,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댁은 뉘시오?

-()? ①아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오라버니댁/처남댁/철수댁/참봉댁. 그 지역에서 시집온 여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평양댁/광주댁/김천댁.

 

묘령의 중년 여인 : ‘묘령이 잘못 쓰였음.

[설명] ‘묘령(妙齡)’방년(芳年)’과 마찬가지로 스무 살 안팎의 여자 나이를 뜻하므로, 중년 여인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음.

방년[芳年]? 이십 세 전후의 한창 젊은 꽃다운 나이.

중년[中年]? ①마흔 살 안팎의 나이. 또는 그 나이의 사람. 청년과 노년의 중간을 이르며, 때로 50대까지도 포함. 사람의 일생에서 중기, 곧 장년중년의 시절.

[참고] 재원(才媛)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뜻하므로 남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 김 군은 장래가 촉망되는 재원이야(x). 한편, 규수(閨秀)에는 남의 집 처녀/학문과 재주가 뛰어난 여자의 두 가지 뜻이 있어서, 꼭 처녀에게만 사용할 수 있는 말은 아니다. 후자의 뜻으로는 여류(어떤 전문적인 일에 능숙한 여자)와 비슷하다.

 

까보면 흠결 하나 없는 사람은 없다 : 이 적절함. 설명 참조.

[설명] ‘흠결을 흔히 단점/결점/잘못/의 뜻으로 쓰지만, ‘흠결은 구체적으로 양이 축나서 모자라거나 부족할 때 쓰는 말로 비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이 더 적절함.

흠결[欠缺]흠축[欠縮]? 일정한 수효에서 부족함이 생김.

[]? ①어떤 물건의 이지러지거나 깨어지거나 상한 자국. 어떤 사물의 모자라거나 잘못된 부분. 사람의 성격/언행에 나타나는 부족한 점.

 

짓다 만 건물이 도시의 흉물이 되었다 : ‘흉물사람/동물에게만 쓸 수 있는 말.

[설명] ‘흉물(凶物/兇物)’성질이 음흉한 사람이나 모양이 흉하게 생긴 사람/동물이라는 뜻으로 사람/동물에게만 쓸 수 있는 말. 따라서 흉물은 의인화 문장이 아닌 한은 위와 같이 사용해서는 안 됨. 흉물의 뜻을 살리고자 한다면 흉물스러운 것등으로 바꿔 쓰는 것이 좋음. <>짓다 만 채 세월의 때가 낀 그 건물은 그 도시의 흉물스러운 풍광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천방지축마골피희귀성들을 모은 거야 : 희성의 잘못.

그 아이 병은 희귀 질병이라고나 할까 : 희소병(혹은 드문 병)의 잘못.

[설명] ‘희귀(稀貴)’희귀하다의 어근으로서, ‘희귀하다드물어서 매우 진귀하다는 뜻. 드문 성이라고 할 때는 희성이어야 하고, 아주 드문 병일 때도 그에 알맞은 말로 바꾸어 표현하는 게 옳음.

희성[稀姓]? 매우 드문 성(). 우리나라에서는 정(), (), () 등이 있음.

 

우뢰와 같은 박수가 쏟아져 나왔다 : 우레의 잘못.

[설명] 예전에는 우뢰(雨雷)’로 쓰기도 했는데 이는 우리말 우레를 한자어로 잘못 인식하여 그리된 것. ‘우레()+(접사 기능)’ 꼴의 우리말로 15세기 이전부터 쓰여 왔으며(금강경/송강가사 등에서), ‘천둥과 동의어. , ‘우레천둥’.

 

이번의 비리 사건은 회사 역사상 유래가 없는 일 : 유례의 잘못.

[설명] 예문에서 유래전례(前例)(이전부터 있었던 사례)’로 바꿔 보면 뜻이 통하는데, ‘전례유례와 같은 말이다. ‘유래는 어떤 일/사물이 생긴 연유를 뜻한다.

유래[由來]? 사물/일이 생겨남. 또는 그 사물/일이 생겨난 바. []까닭, 연유, 유서

유례[類例]? ①같거나 비슷한 예. ②≒전례(前例)(이전부터 있었던 사례).

 

농민들의 항의 시위로 시내 진입로 일대가 봉쇄되었다. : 일부 지역의 잘못.

태풍으로 남해안 일대에 주의보가 발효되었다 : 맞음.

시행사 측은 북한산 일대 1만 평의 부지를 매입하였다 : (일부) 지역의 잘못.

[설명] ‘일대(一帶)’일정한 범위의 어느 지역 전부를 뜻하는 말. 그러므로, ‘시내 진입로 일대는 시내 진입로 전부를 뜻하고 북한산 일대는 북한산 지역 전체를 뜻하므로 잘못 쓰인 경우임.

 

놀이시설 이용 시 노약자와 임산부는 유의하세요 : 임신부(혹은 임부)의 잘못.

[설명] ‘임산부임부산부를 아우르는 말. ‘산부는 아기를 갓 낳은 여자이므로 놀이시설에 올 수도 없는 처지. 따라서 위의 문맥과는 어울리지 않음.

임산부[妊産婦]? 임부와 산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임부[妊婦]임신부[妊娠婦]? 아이를 밴 여자.

산부[産婦]산모[産母]? 아기를 갓 낳은 여자.

 

00비엔날레가 개막식을 시작으로 그 대단원의 막이 올랐다 : 서막의 잘못.

[설명] ‘대단원은 어떤 일의 맨 마지막을 뜻하는 말이므로 대단원의 막은 내리는 것이지 올리는 것이 아님. 대단원의 막이 내리면 일이 끝난 것이며 시작되는 것이 아님. 시작의 의미로는 서막을 써야 함.

대단원[大團圓]? ①≒대미[大尾](어떤 일의 맨 마지막). 연극/소설 따위에서, 모든 사건을 해결하고 끝을 내는 마지막 장면.

 

이 아이가 장차 우리 집안을 일으킬 장본인이야 : 맞음. 쓸 수 있음.

[참고] 당사자가 아닌 제삼자는 관여하지 마 : 맞음.

[설명] ‘장본인(張本人)’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 자체에 긍정/부정의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은 중립적인 말이며, ‘당사자와는 의미가 다름. 따라서 위와 같이 긍정의 의미로 쓸 수도 있고, 나아가 부정의 의미로도 쓸 수 있음. <>그녀의 재기 성공의 장본인이 바로 그였다; 이 모든 사달의 장본인이 바로 그 녀석이었다니까.

[참고] 당사자(當事者)? 어떤 일/사건에 직접 관계가 있거나 관계한 사람.

 

금슬(琴瑟) 좋은 부부는 금실로 엮인다 : 맞음. ‘금실도 가능함.

[설명] ‘금슬금실의 원말로 복수표준어. 그러나 관련어의 경우에는 금실로 표기한다. <>‘금실지락[琴瑟之樂]금실(琴瑟)’(부부간의 사랑). , 거문고와 비파의 의미로는 여전히 ’.

[유사] 초승달(o)/초생달(x); 이승/저승(o); 금승말(o)

금슬(琴瑟)? ①거문고와 비파를 아우르는 말. 금실(부부간의 사랑)’의 원말.

금실(琴瑟)? 부부간의 사랑. []금실지락, 부부애, 정분.

 

[배워서 남도 주자!] 괴상한 한자어 애용 : 피로회복제, 희귀병

 

피로회복제로 그것만 한 것도 없지 : 피로 해소제 (혹은 원기 회복제)의 잘못. <=논리의 오류.

[설명] 피로를 회복하면 다시 피로해지므로 피로는 해소되어야 하며, 회복되어야 할 것은 원기임.

 

저 아이의 병은 희귀병이야 : 희소() (혹은 드문 병)등의 표현이 적절함.

[설명] ‘희귀하다(稀貴-)’골동품(骨董品, 오래되었거나 희귀한 옛 물품)’이나 진약(珍藥, 희귀한 약)’ 등에서 보듯, ‘드물어서 매우 진귀하다를 뜻하는 말로 귀하다, 드물다, 진기하다와 비슷한 말. 따라서, ‘희귀병이란 명칭은 지극히 부적절한 표현이다. 매우 드물다는 뜻으로는 희귀대신 희소(稀少)’가 어울리지만, ‘희소가치등으로 쓰이고 있어서 희소()이라는 명칭과는 의미 충돌의 우려가 있긴 하다. '드문 병' 정도가 어떨까 싶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