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리말 겨루기 문제 풀이 714회(1) -손정선 님 우승 : 숫고양이(x)/수고양이(o), 동틀 녘(o)/동틀녘(x)

우리말 겨루기 문제 풀이

by 지구촌사람 2018. 5. 1. 17:57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714(2018.4.30.) 우리말 겨루기 문제 풀이(1)

-손정선 님 우승 : 숫고양이(x)/수고양이(o), 동틀 녘(o)/동틀녘(x)

) --> 

우리말 달인에 오르는 쉬운 방법 : 문자나 카톡을 할 때, 긴가민가하는 것이 있으면 맞춤법을 검색해 보세요. 그걸 습관화하면 됩니다! 그보다 더 좋은 방법은 글쓰기를 해보는 것. 일기나 수필을 쓰면서, 그때마다 맞춤법/띄어쓰기를 확인하게 되면 금상첨화죠. 요체는 평소의 언어생활에서 부딪는 일상적인 것들을 챙겨보는 것. , 맞춤법/띄어쓰기에 관한 기본 원칙/원리들을 1차 공부한 뒤에요. 낱개의 낱말들만 외우려 들면 쉬 지쳐서 중도 포기하게 되고, 활용 문제(띄어쓰기와 표준 표기)에서 전혀 힘을 못 씁니다. 실제로 두 달 정도만 시간을 투자하여 원칙들을 공부하고 나면 그 뒤로는 아주 편해집니다. 맞춤법/띄어쓰기 앞에서 우리말이 어렵다는 소리부터 습관적으로 앞세우는 사람들을 보면, 영문법 공부에는 몇 년을 투자하면서도 우리말 어법 공부에는 채 두 달도 투자하지 않은 이들이랍니다. -溫草 생각.

) --> 

1. 출연자 등등

) --> 

무대를 빛낸 사람들

) --> 

이영준(25) : 대학생. 방송 전 피부 관리를 받고 나왔음. 결과 : 4. ‘183월 예심 합격자.

) --> 

손정선(59) : 물 건너 왔음(제주도 거주). 폐소 공포증 있음. 자연과 함께하는 생활이 행복. 3연승제 시절 564/565회 출연(당시는 무덤덤의 달인 집에 불이 났을 때도 ‘119에 전화해’). ‘178월 정기 예심 합격자. 우승!

) --> 

이준우(78) : ‘노병은 살아 있다’. 8년 전 예심 합격, 우리말 공부 중 어지럼증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음. 준우승이 목표 이름에 준우가 있으므로. 결과 : 3. ‘178월 정기 예심 합격자.

) --> 

금영일(35) : 영어 교사. 7개월 된 아기 있음. 1등 남편. 맑고 밝은 얼굴. ‘17년 하반기 대구 지역 예심 합격자. 2인 대결 진출!

) --> 

) --> 

출연자 속사화

) --> 

-획득 점수 : 자물쇠 문제 직전까지. 350/1100/500/750(출연 번호순).

2인 대결 결과 : 2100/950(손정선 대 금영일)

) --> 

늘 말하듯 점수는 정직하다. 대학생 영준 군의 점수가 70대의 준우 님보다도 낮은 것은 그만큼 공부량이 적었다는 걸 보여준다. 우승자 정선 님의 점수가 근래 드물게 2천 점을 넘어섰다. 하기야, 정선 님은 3연승제 시절(2015.4~5) 2회 연승에 도전하셨던 분이다.

) --> 

달인 도전에서 딱 1문제에서 오답이 나왔는데, 다른 걸 손대는 바람에 우승 상금 두 배 획득에도 실패하셨다. 특히 실족하신 거진거지반[居之半]’의 준말인 거반[居半]’의 잘못으로 이곳 문제 풀이에서도 다뤘고, 내 맞춤법 책자에서도 다룬 말이었는데, 안타까웠다.

) --> 

문제 구성 분석

) --> 

-관용구 및 속담의 활용, 비유어, 고유어

) --> 

전반적으로는 근간의 출제 경향과 어슷비슷했다. 비유어 출제 비율이 짝수.홀수 회 구분 없이 줄고 있는 것도 공통적. 어제는 3개만 나왔다. 지난 홀수 회에서는 자물쇠 문제 구성에서 변화가 보였는데, 이번 짝수 회 문제에서는 전과 동. 맞춤법 쓰기 문제도 그대로 보였다.

) --> 

일반 문제에서의 맞춤법 문제 중 수평아리/수탕나귀/수캉아지/수코양이 문제는 기출 문제의 활용 문제라 해야 한다. ‘-’ 뒤에 격음으로 표기해야 하는 것들을 알아보는 문제인데, 얼마 전에 출제된 것들과 다른 낱말만 배치한 것이기 때문. 그럼에도 이번 출제에서도 정답을 적은 이는 단 두 사람뿐이었다.

) --> 

-달인 도전 문제

) --> 

난도는 정상화되었지만, 형식이 까다로워지면서 평균 난도는 별 반 개쯤 상향되었다. 두 개 중에서 하나를 찍는 방식에서 점점 탈피하고 있다. 어제는 심지어 제시어로 6개가 주어지기도 했다. 지금까지는 5개가 최대였다. 그러니 제시어가 4개 정도인 것은 예삿일이 되었다.

) --> 

어제 문제는 어휘력 관련 문제가 3개나 되었다 : ‘거반/밟다듬이/싱숭-’. 올바른 표기와 관련하여 모음조화 관련 문제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어제도 두 개나 나왔다 : 시꺼메지다/헤매다. 그중 하나는 모음조화와 무관한 올바른 의미소 찾기 문제였지만, 모음조화를 떠올리면 되레 실수할 말로서 일종의 함정 격 문제였다.

) --> 

출연 대기 상황

) --> 

출연 포기자 100여 명 이상을 제외하면 100분 정도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요즘엔 장기 대기자들에게 기회를 주고 있다. 이번 출연자 중 금영일 님 같은 경우는 예심 후 거의 2년 만의 출연이었다. 장기 대기자들의 정리 차원에서 이뤄지는 출연 교섭인 듯도 하다. 좋은 일이다. 지금까지의 출연자들과 대기 상황은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 http://blog.naver.com/jonychoi/20207621752.

) --> 

2. 문제 풀이 및 관련어 정리

) --> 

출제된 말 중 주목해야 할 것들

) --> 

출제된 말들을 문제 풀이순으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밑줄 그은 것들은 처음 출제된 말들로, 상당수가 새로운 것들이다. 기출 문제에만 매달리면 망할 수도 있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 꽃다발, 고화질, 작대기, 허심탄회, 노파심, 노릇, 줄타기, 단단하다, 야심작, 나름, 00바구니/도깨비00/틈새00 : 시장, 몸성히, 기색, 불티나다, ()구심점, ()매뉴얼 지침(설명서/안내), ()고생문, ()눈을 붙이다/마음을 ~/엉덩이를 ~; ()수캉아지/수고양이/수평아리/수탕나귀, 마련, 마취, ()채찍질, 등용문, 끽하다, 고장난명(孤掌難鳴) , 시새움, ()점잔, ()손가락 안에 꼽히다, ()곪으면 터지는 법, 거반, 밟다듬이, 싱숭하다,

) --> 

여기서 (), (), (), (), ()의 표기는 각각 맞춤법, 비유어, 관용구, 속담, 순화어를 뜻한다.

) --> 

비유어에 대해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주요 낱말이 약 4500여 개쯤 되는데 분량이 많아서 이곳의 다른 게시판에 모아 두었다. <우리말 공부 사랑방> <비유어 모음> 항목. 사람을 뜻하는 비유어 외에는 음절수 기준으로 나누어 실어 두었으니, 짬짬이 훑어 두시면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 --> 

돌아볼 말들 : 해당 낱말과 관련어 설명을 내 <고급 한국어 학습 사전>에서 전재한다. 뜻풀이 부분에서의 주기(朱記) 부분은 편집/추가분.

) --> 

뜻풀이에서도 이번에 출제된 낱말에만 한정하지 말고 관련어들에 대해서도 꼭 훑어두시기 바란다.

) --> 

[이 글을 처음 대하시는 분들에게 : 내 사전이나 이곳 문제 풀이에서 표제어 뒤에 () 표가 붙은 것들은 기출 낱말을 뜻하는 표지이다. 아하 이 정도의 말들이 출제되었구나(출제되는구나)’ 하고, 보시면 된다. 시중에 달랑 한 종류가 나도는 기출 문제집은 아주 오래 전, 초기에 출제된 것들만 담겨 있다. 요즘 내용들과는 엄청 거리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 --> 

[주요 낱말 되돌아보기]

) --> 

작대기[] ①≒작대. 긴 막대기.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히 내리긋는 줄. 흔히 시험 답안지 따위에서 잘못된 답을 표시할 때 긋는다. 소매치기들의 은어로, ‘만년필을 이르는 말.

바지랑대[] 빨랫줄을 받치는 긴 막대기. []장대

물미[] 지게를 버티는 작대기 끝에 끼우는 쇠.

물미작대기[] 끝에 물미를 맞추어 끼운 작대기.

작사리[] 한끝을 엇걸어서 동여맨 작대기. 무엇을 걸거나 받치는 데 씀.

작살[] 물고기를 찔러 잡는 기구. 작대기 끝에 삼지창 비슷한 뾰족한 쇠를 박아 만듦. 작사리(한끝을 엇걸어서 동여맨 작대기)’의 준말.

오줌작대기[] 오줌장군을 지어 나를 때 짚는, 쇠꼬챙이를 끝에 댄 작대기.

작대기바늘[] 길고 굵은 바늘.

작대기찜질[] 작대기로 마구 때리거나 찌르는 짓.

작대기타령[] ‘익산 목발 노래가운데 서울의 창부 타령을, 작대기로 지겟다리를 치면서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민요.

모장대[] 손으로 모를 낼 때, 간격과 줄을 맞추기 위하여 눈금을 표시한 긴 작대기나 대나무.

작대기모[] 논에 물이 적어서 흙이 부드럽지 못할 때 작대기로 구멍을 내고 그곳에 모를 심는 일.

익산목발노래[益山木-][] 전북 익산시에서, 지게를 지고 나무하러 가며오며 주로 작대기로 지겟다리를 두드리며 부르는 민요. 산타령, 등짐 노래, 등당기 타령, 지게목발 노래, 작대기 타령 따위로 되어 있다.

아니 무너진 하늘에 작대기 받치자 한다 ? 공연히 쓸데없는 짓을 하자고 함의 비유.

무식하고 돈 없는 놈 술집 담벼락에 술값 긋듯 ? 외상술을 먹고 글자를 몰라 술집 담벼락에 작대기를 그어 술값을 적듯이 작대기를 자꾸 그어 감.

~~~~~~~~~~~~~

구실의 관련어

구실[]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맡은 바 책임. 예전에, 온갖 세납의 총칭. 관아의 임무. []직무/노릇/소임

노릇[] 맡은 바 구실. 일의 됨됨이/형편.

역할[役割][] 자기가 마땅히 하여야 할 맡은 바 직책/임무. ‘구실’, ‘소임’, ‘할 일로 순화. ②≒[](영화/연극 따위에서 배우가 맡아서 하는 소임).

병신굿[病身-]/병신노릇[病身-][] 병신구실(병신이나 다름없는 못난 짓).

편복지역[蝙蝠之役]박쥐구실[] 자기 이익만을 위하여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줏대 없는 행동의 비유.

업거울[] 업의 구실을 한다는 거울.

사람값[] 사람으로서의 가치/구실.

물건[物件][] 제법 어떠한 구실을 하는 존재의 비유. 주로 특이한 존재. 남자의 성기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사고파는 물품.

구실길[] 구실을 할 수 있는 방법/도리. 구실아치가 공사(公事)로 다니는 일.

절값[] 절을 받고 주는 돈. 그에 합당한 구실/노릇.

밥자루[] 제구실은 하지 못하고 밥이나 축내는 사람의 낮잡음 말.

허수아비[]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사람의 비유. 주관 없이 남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는 사람의 비유.

쭉정이[] 쓸모없게 되어 사람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의 비유.

배퉁이[] 제 구실은 제대로 못하면서 배가 커서 밥을 많이 먹는 사람의 놀림조 말.

밥통[-][] 밥만 축내고 제구실도 못하는 사람의 낮잡음 말.

안전판[安全瓣][] 다른 사물의 위험/파멸을 막아 내는 구실을 하는 것.

값하다[] 어떤 것에 합당한 노릇/구실을 하다.

톡톡하다[] 구실/역할 따위가 제대로 되어 충분하다. ¶톡톡히[]

~~~~~~~~~~

구실[口實][] 핑계를 삼을 만한 재료. ‘핑계로 순화. []명목/변명/명분

근터리[] 근거나 구실.

변명[辨明][] 어떤 잘못/실수에 대하여 구실을 대며 그 까닭을 말함. 옳고 그름을 가려 사리를 밝힘.

생구실[生口實][] 타당하지 아니한 억지 구실.

이유[理由][] 구실/변명. 존재의 기초가 되거나 어떤 사상이 진리라고 할 수 있는 조건.

[] 구실/핑계로 삼아 원망하거나 나무라는 일.

명목[名目][] 구실/이유.

명색[名色][] 겉으로 내세우는 구실.

자구[藉口][] 구실이 될 만한 핑계를 댐. 그 핑계/구실.

명분[名分][] 일을 꾀할 때 내세우는 구실/이유 따위.

대의명분[大義名分][] 어떤 일을 꾀하는 데 내세우는 합당한 구실/이유.

덧대다[] 군더더기로 덧붙여 대거나 구실 삼아 구구하게 말하다.

~~~~~~~~~~

야심작[野心作][] 획기적인 작품을 이루려는 노력으로 새로운 시도를 대담하게 표현한 작품.

회심작[會心作]쾌심작[快心作]/쾌작[快作][] 자신의 작품 가운데 마음에 흐뭇하게 들어맞는 작품.

~~~~~~~~~

기색[氣色][] 마음의 작용으로 얼굴에 드러나는 빛. 어떠한 행동/현상 따위가 일어나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눈치/낌새.

기미[幾微/機微][] 낌새. 어떤 일을 알아차릴 수 있는 눈치.

~~~~~~~~~

고생관련 낱말들

고생[苦生][] 어렵고 고된 일을 겪음. 그런 일/생활.

고생문[苦生門][] 앞으로 고생을 겪게 될 운명의 비유.

고생길[苦生-][] 어렵고 고된 일/생활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형편.

고생티[苦生-][]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고생한 흔적.

고생기[苦生氣][] 어렵고 고된 일이나 생활을 하고 있음이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기색.

고생담[苦生談][] 어렵고 고된 일을 겪은 이야기.

고생살이[苦生-][] 어렵고 고되게 꾸려 가는 살림살이.

고역살이[苦役-][] 몹시 고되고 힘든 일을 하면서 살아가는 일.

고생바가지[苦生-]고생보따리[苦生-][] 고생스러운 일거리가 담겨 있는 바가지라는 뜻으로, 힘든 일이 많은 것의 비유.

고생주머니[苦生-]고생보따리[苦生-][] 고생스러운 일거리가 들어 있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힘든 일이 늘 많은 것의 비유.

마음고생[-苦生][] 마음속으로 겪는 고생.

헛고생[-苦生][] 아무런 보람도 없이 고생함. 그런 고생. []도로, 헛수고

소년고생[少年苦生][] 젊은 시절에 겪는 고생.

초년고생[初年苦生][] 젊었을 때 겪는 고생.

짓고생[-苦生][] 아주 심한 고생.

개고생[-苦生][] 어려운 일/고비가 닥쳐 톡톡히 겪는 고생.

만고생[萬苦生][] 만 가지 고생이라는 뜻으로, 갖은 고생.

뒷고생[-苦生][] 나이가 많이 들어서 하는 고생.

생고생[生苦生][] 하지 않아도 좋을 공연한 고생.

줄고생[-苦生][] 그치지 아니하고 계속되는 고생.

언걸[] 큰 고생. ¶언걸먹다[]

된욕[-][] 몹시 심한 고생/수고스러운 일. 몹시 부끄럽고 치욕적인 일.

[] 어떤 액운을 넘기거나 다른 고생으로 대신 겪는 일.

죽살이[] 죽고 사는 것을 다투는 정도의 고생.

종살이[] 종처럼 일한다는 뜻으로, 매우 힘들고 고되게 열심히 일함을 이르는 말.

설상[雪霜][] 가난하고 고생스러움의 비유.

신산[辛酸][] 세상살이가 힘들고 고생스러움의 비유.

풍상[風霜][] 많이 겪은 세상의 어려움/고생의 비유.

간난신고[艱難辛苦][] 몹시 힘들고 어려우며 고생스러움.

만고풍상[萬古風霜][]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

풍찬노숙[風餐露宿][]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

각고면려[刻苦勉勵][]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산전수전[山戰水戰][] 산에서도 싸우고 물에서도 싸웠다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음.

병풍상서[病風傷暑][] 바람에 병들고 더위에 상하였다는 뜻으로, 고생스러운 세상살이에 시달림의 비유.

조강지처[糟糠之妻][]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

천신만고[千辛萬苦][] 천 가지 매운 것과 만 가지 쓴 것이라는 뜻으로, 온갖 어려운 고비를 다 겪으며 심하게 고생함.

칠전팔도[七顚八倒][] 일곱 번 구르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뜻으로, 수없이 실패를 거듭하거나 매우 심하게 고생함.

즐풍목우[櫛風沐雨][] 머리털을 바람으로 빗질하고 몸은 빗물로 목욕한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객지에서 방랑하며 온갖 고생을 다 함.

엄호수[掩淲水][] 고주몽이 부여를 떠나 졸본천(卒本川)에 이르는 도중에 고생하며 건넜다는 큰 강. 광개토 대왕릉비 비문에서는 엄리대수(奄利大水)’라고 하였음.

현두[懸頭][] 고생하며 배움의 비유. 중국 초나라의 손경(孫敬)이 경문을 베낄 때 새끼줄로 상투를 대들보에 걸어 매고 졸음을 쫓은 데서 유래함.

녹다[] 술에 몹시 취하여 고생을 하다.

녹아나다[] 어떤 기세에 눌려서 보잘것없이 되고 고생을 하다. 상대편에게 홀리거나 하여 정신을 차리지 못하다.

피나다[] 몹시 고생을 하거나 힘들여서 함.

피어리다[] 피 흘려 싸우거나 피가 맺히도록 고생한 자취가 깃들어 있다.

신산스럽다[辛酸-][] 보기에 사는 것이 힘들고 고생스러운 데가 있다.

어려이[] 가난하여 살아가기가 고생스럽게.

~~~~~~~~

마련[] 헤아려서 갖춤.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속셈/궁리. ? ①당연히 그럴 것임을 나타내는 말. 그런 정도/상태로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알선/장만/준비. ¶~하다/~되다[]

장만[] 필요한 것을 사거나 만들거나 하여 갖춤. ¶~하다[]

준비[準備][] 미리 마련하여 갖춤. ¶~하다/~되다[]. ~[]

마련하다[] 헤아려서 갖추다. 그런 것치고는’, ‘그런 것에 비하여서는의 뜻을 나타내는 말. ¶고단한 마련해서는 쉬 잠이 왔으련만.

일동마련[一同磨鍊][] 여럿이 합의하여 결정하는 일.

~~~~~~~~~~

마비[痲痹/麻痹][] 신경/근육이 형태의 변화 없이 기능을 잃어버리는 일. 감각이 없어지고 힘을 제대로 쓰지 못하게 됨. 본래의 기능이 둔하여지거나 정지되는 일의 비유.

마취[痲醉][] 약물 따위를 이용하여 얼마 동안 의식/감각을 잃게 함. 사상/이념 따위에 의하여 판단력을 잃게 됨.

교통마비[交通痲痹][] 악천후/천재지변, 여러 가지 사고 따위로 교통 기관이 제구실 을 하지 못하는 상태.

반신마비[半身痲痹][] 반신불수(/사고로 반신이 마비되는 일).

하반신마비[下半身痲痺][] /다리가 좌우 대칭으로 운동 마비를 일으키는 상태.

~~~~~~~~~~~

'시기[猜忌]‘의 관련어

시기[猜忌][]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투기//시새움

[] 남의 처지/물건을 탐내거나, 자기보다 나은 처지에 있는 사람/적수를 미워함. 그런 마음.

시새움• ?시샘[] 자기보다 잘되거나 나은 사람을 공연히 미워하고 싫어함. 그런 마음.

질투[嫉妬/嫉妒][] 이성(異性) 사이에서 상대되는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경우에 지나치게 시기함. 다른 사람이 잘되거나 좋은 처지에 있는 것 따위를 공연히 미워하고 깎아내리려 함. 칠죄종(七罪宗)의 하나. 우월한 사람을 시기하는 일.

투기[妬忌]강샘/강짜/질투[] 부부 사이나 사랑하는 이성(異性) 사이에서 상대되는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경우에 지나치게 시기함.

강짜[] ‘강샘의 속칭. ¶~하다[]

용심[] 남을 시기하는 심술궂은 마음. ¶~부리다[]

용심꾸러기[] 남을 시기하는 심술을 많이 부리는 사람.

얌심[] 몹시 샘바르고 남을 시기하는 마음.

얌심데기[] 몹시 샘바르고 시기하는 마음이 있는 듯한 행동을 자꾸 하는 사람의 낮잡음 말.

암기[-]{ː}[] 남을 미워하고 시기하는 마음. ¶드러내지만 안했을 뿐, 암기로 가득 찬 여인.

암상[] 남을 시기하고 샘을 잘 내는 마음. 그런 행동.

암상떨이[] 남을 시기하고 샘을 잘 내는 짓. ¶암상꾸러기암상쟁이[]. ~스레[]

질시[嫉視][] 시기하여 봄.

반목[反目][] 서로서로 시기하고 미워함. ‘미워함’, ‘서로 미워함으로 순화.

[이하 생략]

) --> 

[2편으로 계속]



<달인의 띄어쓰기.맞춤법> 2018년 개정판. 새로 나왔습니다!


   -2009년 이후 2018년 초까지 바뀐

    뜻풀이/용례/복수표준어/문장부호 등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했습니다.

    세 번째의 개정판(736쪽).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맞춤법 책자 중

    이러한 변경사항들이 모두 반영된 것은 현재로선 유일합니다.

    표준어 표기(맞춤법) 외에 띄어쓰기를 함께 다룬 책자로도 유일하고요.




<고급 한국어 학습 사전> 2015 개정판

  -우리나라의 중대형 종이 국어사전 중 유일하게 2000년대 이후의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내용을 반영한 사전. 2015년 3/4분기까지의

   변경 내용이 담겨 있다. 300여 어휘가 이에 해당된다.

   여타 사전들은 개정판이 아니라 단순히 증쇄(늘려 찍어내기)만 한 것들.

   안타깝게도, 대형 출판사들의 국어사전 편집팀들이 해체된 지도 10여 년이 넘는다.



   <열공 우리말> 2017


재미있게 슬슬 읽으면서, 12000여 개의 낱말을 쉽게 익힐 수 있다.

생활 주변에서 대할 수 있는 우리말 관련 사항을

딱딱하지 않게, 재미를 곁들여 광범위하게 다뤘다. 


어느 페이지를 들춰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저절로 '오오 그으래?' 소리가 자주 나올 수 있으리라 장담한다.


130가지 질문과 답을 통해 1천여 표제어의 뜻을 정확히 파악하고

다시 그 표제어와 분류별, 유형별, 실생활 사용례별로 연관된

1만2천여 단어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